29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국무원 산하 국영 기업들이 전남 영광군 낙월 해상풍력 프로젝트에 관여하고 있다. 낙월 해상풍력은 중국에너지건설유한공사(CEEC)가 설계·조달·시공(EPC)에 참여하고 있는 사업이다.
중국 기업들의 사업 참여 가능성이 제기됐지만 시행사인 명운산업개발은 외부 시선을 의식해 이를 부인해왔다. 하지만 조달·시공 등을 CEEC가 맡았을 뿐아니라 중국에너지건설유한공사(CCCC), 중국장강삼협집단공사(삼협) 등 중국에서 해양 인프라 구축을 담당해온 국영 기업들이 단순 자문 역할을 넘어 사업 실무에도 깊숙이 관여해 온 것이 확인됐다.
CCCC의 참여는 산하 조직인 동부지역 도로·교량 공사(CRBC)가 지난달 ‘영광 낙월 해상풍력 물자 구매 입찰 공고’를 통해 각종 물자, 기초 공사 관련 사업자를 모집하는 사실이 알려지며 포착됐다. 중국 최대 수력 발전을 운영하는 기업인 삼협은 낙월 해상풍력의 사업자가 결정되기 전부터 사업 참여를 타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협 산하 상하이연구소는 낙월 사업의 시행사가 정해지기 전인 2023년 11월 방한해 국내 협력사와 면담을 가졌고 같은 해 12월 기술서비스 계약을 체결했다.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VJECHM40
이번 영광 낙월 해상풍력은 입지 선정 단계는 물론 PF가 기대 수준에 못미치고 대우건설과의 EPC 계약이 실패하는등 모든면에서 미달, 결국에는 서부발전까지 철수, 현재 이 사업은 미궁에 빠졌다.
명운산업은 이 사업에서 완전 손을 떼기 위해 80%에 달하는 지분 전량을 해외 업체에 매각하고 빠짐으로써, 이사업 향방은 가늠하기 어렵게 됐다.
그렇다고 국내 풍력업체중 가장 앞서 나간 명운산업개발이 이번 철수로 완전히 이 사업을 접는 것은 아니다.
현재 명운산업개발은 여수 해상풍력 추진을 위해 또 한번의 도전을 준비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출처 : 한국전력신문(http://www.epnews.co.kr)
이에 따라 공급망 업체로는 ▲모노파일 제작에 GS엔텍 ▲후판 공급에 포스코와 현대스틸 ▲TP(Transition Piece) 제작에 삼일씨엔에스 및 화승에너지, 영진 ▲해저케이블에 대한전선 ▲EPC에 호반산업과 삼해종합건설, 토성토건 및 다수의 협력업체들이 해상풍력 분야 마수걸이 수주에 성공했다.
설계 및 엔지니어링, 인증관련 업체로는 ▲한국종합기술 ▲드림엔지니어링 ▲성신ENC ▲TÜV ▲DNV 등 다수의 기업들과 함께 ▲지질조사 업체인 바다엔지니어링이 참여했다.
또 ▲SCADA를 포함한 운영관리 및 모니터링 관련 기업으로 ▲한전KDN ▲영국전자 등이 참석했다. 금융, 회계 및 법무관련 기업으로 ▲현대해상 ▲와이즈 손해보험 ▲MSI ▲로엘회계법인 ▲김&장 ▲지평 등이 참석했다.
지난 3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나경원 의원에 따르면 정부가 허가한 ▲신안 우이 ▲영광 낙월 ▲완도 금일 1·2 ▲전북 고창 등 5개 해상풍력 고정입찰 사업에서 주요 기자재의 납품업체가 중국 기업인 것으로 밝혀졌다.